분류 전체보기

·IT 공부/Linux
명령어 및 매개변수 확인하기 s3.sh #!/bin/bash echo "\$0=$0" echo "\$1=$1" echo "\$#=$#" $0이 의미하는건 입력된 명령어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1이 의미하는건 첫번째 매개변수 ( 2는 두번째 3은 세번째...) $#이 의미하는건 매개변수의 갯수를 의미한다. ./s3.sh 해당 파일을 실행해보면, $0은 실행한 명령어인 ./s3.sh가 매개변수는 없었기 때문에 $1에는 공백이고 매개변수의 갯수를 나타내는 $#에는 0의 값이 나온다. ./s3.sh aaa bbb로 실행했을 경우에는, 매개변수가 2개(aaa, bbb)이므로 $1에는 aaa값이 $#에는 2의 값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IF문과의 응용 #!/bin/bash if [ $# -eq 0 ]; the..
·IT 공부/Linux
shell script shell공간에 한줄한줄 절차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 Vim 환경설정 shell script를 이용하기 전에 vim 환경설정을 만들어줄 필요성이 있다. 협업을 할 때, 각자가 적은 소스코드의 환경설정이 틀리면 다른 사람이 받아봤을 때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vimrc set smartindent set tabstop=4 set expandtab set shiftwidth=4 ~는 자신의 home 디렉토리 위치를 의미 위의 코드는 스페이스 4개 만큼 자동적으로 tab이 되도록 해주는 설정이다. shell에는 최상위의 shell은 sh, 리눅스의 최상위면서 sh보다는 한단계 낮은 bash가 있다. 기본적인 문법 $ vi s1.sh #!/bin/bash echo "My..
·IT 공부/Linux
왜 쉘 스크립트를 이용하나요? 저번시간에 했었던, telnet을 보면 데몬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etc/init.d/xinetd restart 명령어를 실행시켜줘야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telnet을 이용할 때마다, 이렇게 할려면 명령어도 복잡하고 귀찮으니 이것을 쉘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같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usr/bin 디렉토리 위치에 bash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곳에 docker_bash라는 파일을 생성해서 쉘 스크립트를 만들도록 합니다. (파일 이름은 상관없음) $ vi docker_bash docker_bash #! /bin/sh /etc/init.d/xinetd restart export LANGUAGE=ko LC_ALL=ko_KR.UTF-8 ba..
·IT 공부/Linux
putty란? windows에서 Linux 사용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도구다 설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된다. www.putty.org putty 설정 putty를 실행시킨 화면인데, 우리는 telnet 을 사용할 거기 때문에 맞춰서 설정을 해준다. 하지만, 설저을해서 실행을 시켜봐도 위의 사진처럼 네트워크 에러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포트 포워딩이 안되어있기 때문 현재 windows라는 환경에서 putty를 이용해 docker container인 ubuntu에서 telnet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포트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windows와 공유기 사이와의 포트 포워딩 그리고 공유기쪽에서 docker container와의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다. (oracle V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
·IT 공부/Docker
ubuntu환경에서 git 설치 및 사용 우선 docker container에서 만들어놓은 ubuntu 환경 container를 실행시키고 attach로 들어간다. 컨테이너 활성화 $ docker start ubx docker ps를 통해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해보면 ubx 이름의 컨테이너가 실행중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컨테이너 attach $ docker attach ubx ubuntu 환경에 접속이 되고, whoami를 통해서 현제 root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SERADD를 통해 추가한 유저 확인 유저 전환 $ su - dooo 유저 이름이 dooo인 아이디로 전환한다. dooo로 이름이 변한 것을 학인할 수 있다. whoami로도 확인 가능하다. GIT 설치 $ sudo apt-g..
·IT 공부/Docker
Nginx 설치 명령어 ~$ sudo docker pull nginx:latest sudo는 root의 권한으로 실행하겠다는 명령어이다. root상태인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함 :latest는 태그인데 버전을 선택하는 것 latest는 최신버전을 다운 받겠다는 의미다 Nginx 컨테이너 실행 ~$ docker container run --name webserver -d -p 8080:80 nginx docker container run은 docker run 으로 생략해도 됩니다. --name으로 컨테이너의 이름을 webserver로 설정 -d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겠다는 설정 -p는 포트설정으로 로컬의 8080번의 포트와 nginx 컨테이너 서버의 80포트를 연결하겠다 nginx 이미지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
JONGI-N CHOI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