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 페이지 정적페이지는 말그대로, 파일 그 자체를 받아오는 것입니다. resources/static에 있는 hello-static.html static content page. 해당 페이지를 불러올려면, "localhost:8080/hello-static.html" URL로 요청을하면, 해당 HTML 파일 자체를 불러옵니다. 동적 페이지 Controller생성 스프링은 MVC구조이기 때문에, 우선 Controller를 생성합니다. helloController를 생성하고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분류 전체보기
초기설정 필요한 준비 : Java11버전, intelij Spring Boot 스프링 boot를 사용하면, 스프링 프로젝트의 필요한 전체적인 구조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https://start.spring.io Maven project와 Gradle project가 있는데, 일단 두개다 빌딩해주는 도구인데 최근에는 Gradle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Spring Boot 버전을 선택하는 곳이 있는데 SNAPSHOT은 한창 개발중인 버전이라 해서 아무것도 써져있지 않은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아래에는, 프로젝트의 이름을 적거나 그런 부분이 있고 맨 아래 Dependencies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들을 추가하는 곳으로 웹 사이트 개발할 것이기 때문에 Spring We..
캐시 캐시가 없을 때 서버에 요청해서 데이터를 한 번 받아왔을 때, 다음에 또 똑같은 데이터를 요청하면 또 한번 네트워크 서버를 사용해서 해당 요청을 거쳐서 데이터를 받와야하기 때문에 서버 사용량과 시간이 발생합니다. 캐시가 있을 때 위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처음 데이터를 서버에서 전송할 때, 브라우저에 존재하는 캐시 저장소에 저장을 하도록 합니다. 그래서 똑같은 요청을 했을 때, 서버에 요청을 하는 것이아니라 캐시 저장소에서 바로 받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 1. 이미지 요청 GET /image.png HTTP/1.1 Host: www.google.com 2. 이미지 리소스 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image/png cache-control: max-age=60..
상태코드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100번대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 거의 사용하지 않음!! 200번대 (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주요 코드 200 Ok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lication/json Content-Length: oo { "name": "jongin", "age": 28, }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성공적으로 응답이 됐을 경우 받을 수 있는 상태 코드 201 Created HTTP/1.1 201 Created Content-Type: appllication/json Content-Length: oo Location: /members/100 { "name": "jon..
저번 시간에는 NCP를 사용해서 CentOs 운영체재인 서버를 생성을 하고, putty를 이용해서 원격으로 접속한 것 까지 했습니다. 이번에는 그 서버에서 nginx를 yum을 이용해서 설치해서 서버를 실행시키는 것을 하겠습니다. 1. nginx 설치 /etc/yum.repos.d/nginx.repo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 gpgcheck=0 enabled=1 위의 경로에 해당 내용을 추가한 파일 생성 yum install nginx -y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위에서 생성한 yum 레파지토리에서 nginx의 레파지토리를 찾아서 설치하게 됩니다. -y가 의미하는 것은 yes/no를 ..
NCP(Naver Cloud Platform)로 네이버의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생성후 1년간은 무료로 서버 사용이 가능하다. 1. 서버생성 서비스에서 서버클릭하고, 서버생성 클릭! 만들고 싶은 서버는 CentOS 운영체제를 가진 서버이기 때문에, 선택을 해주고 "다음" Zone은 한국으로 해야 무료 기본 default설정을 그대로두고, 서버이름을 지정하고 "다음" putty를 이용해서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인증키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증키 생성 그러면, 서버가 생성을 시작합니다. (완료까지는 수 분이 걸림) 2. 공인 IP신청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컴퓨터에서 우리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인 IP가 필요함 공인 IP신청 클릭 적용 서버 선택은 방금 생성한 서버를 설정 그리고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