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se를 사용한 예외처리 test_list = [1,2,3,4,5,6,7,8] try : for num in test_list : if num%3 == 0 : raise Exception("ss") print(num) except Exception as e : print("aaa", e) test_list 안에 원소를 for을 통해서 하나씩 num 변수에 바인딩 해주는데, if 조건문을 통해서 3의 배수일 때에는 예외처리를 해주는 코딩이다. num의 값이 3의 배수일 때에는 Exception에 ("에러 메세지")를 넣게된다. 그 에러 메세지는 except Exception as e : 에서 e에 들어간다. 결과값 1 2 aaa ss try 안에서 for문이 작동하다가 예외를 만나게 되면 그 다음 동작..
IT 공부/python

포메팅 문자열 중간 중간에 특정 변수의 값을 넣어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인덱스0}, {인덱스1}'.format(값0, 값1) a = 2 b = 3 s = '구구단 {0} x {1} = {2}'.format(a, b, a * b) print(s) {0}는 format의 첫번째 인수인 a {1}는 두번째 인수인 b {2}는 a * b 문자열 정렬하기 # 인덱스를 입력하지 않으면? s4 = 'name : {}, city : {}'.format('BlockDMask', 'seoul') print(s4) # 인덱스 순서가 바뀌면? s5 = 'song1 : {1}, song2 : {0}'.format('nunu nana', 'ice cream') print(s5) # 인덱스를 중복해서 입력하면? s6 = 'te..
우선 random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로 불러와야한다. import random random모듈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함수는 1. random.random() random.random() 함수는 0.0에서부터 1.0 사이의 실수(float)를 반환합니다. [0.0, 1.0) 정확한 범위는 1.0을 포함하지 않는 범위 입니다. (0.0
num1 = random.randint(0, 999) randint(a, b) a
result = [1,2,3,4,5,3] result 라는 list 에서 원소값이 3인 index번호를 알고 싶을 때는??! print(test_list.index(3)) index() 를 사용하게되면 list안에 중복된 value가 있을 때에는 index 번호가 빠른 것만 결가값이 나오게 된다. 결과값 2 rest_list = list(filter(lambda x: test_list[x] == 3, range(len(test_list)))) print(rest_list) list(filter()) 를 이용해서 list안에 중복되는 value값이 있어도 다중의 index 번호를 list의 값을 준다. 결과값 [2, 5] 여기서 fillter()는 filter 함수는 built-in 함수로 list 나 d..

datetime 모듈 import datetime now = datetime.datetime.now() print(now) datetime 모듈은 날짜와 시간을 조작하는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now = datetime.datetime.now() for day in range(5, 0, -1): delta = datetime.timedelta(days=day) date = now - delta print(date) 몇 일전의 날짜를 표기하고 싶을 경우에는 days = 몇 일전 , 이렇게 표시해주면 가능하다. now = datetime.datetime.now() print(now.strftime("%Y,%m,%d %H:%M:%S")) 지시자를 이용하면 보고싶은 시간정보에서 보고싶은 정보만 볼 수 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