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Linux

·IT 공부/Linux
명령어 및 매개변수 확인하기 s3.sh #!/bin/bash echo "\$0=$0" echo "\$1=$1" echo "\$#=$#" $0이 의미하는건 입력된 명령어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1이 의미하는건 첫번째 매개변수 ( 2는 두번째 3은 세번째...) $#이 의미하는건 매개변수의 갯수를 의미한다. ./s3.sh 해당 파일을 실행해보면, $0은 실행한 명령어인 ./s3.sh가 매개변수는 없었기 때문에 $1에는 공백이고 매개변수의 갯수를 나타내는 $#에는 0의 값이 나온다. ./s3.sh aaa bbb로 실행했을 경우에는, 매개변수가 2개(aaa, bbb)이므로 $1에는 aaa값이 $#에는 2의 값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IF문과의 응용 #!/bin/bash if [ $# -eq 0 ]; the..
·IT 공부/Linux
shell script shell공간에 한줄한줄 절차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 Vim 환경설정 shell script를 이용하기 전에 vim 환경설정을 만들어줄 필요성이 있다. 협업을 할 때, 각자가 적은 소스코드의 환경설정이 틀리면 다른 사람이 받아봤을 때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vimrc set smartindent set tabstop=4 set expandtab set shiftwidth=4 ~는 자신의 home 디렉토리 위치를 의미 위의 코드는 스페이스 4개 만큼 자동적으로 tab이 되도록 해주는 설정이다. shell에는 최상위의 shell은 sh, 리눅스의 최상위면서 sh보다는 한단계 낮은 bash가 있다. 기본적인 문법 $ vi s1.sh #!/bin/bash echo "My..
·IT 공부/Linux
왜 쉘 스크립트를 이용하나요? 저번시간에 했었던, telnet을 보면 데몬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etc/init.d/xinetd restart 명령어를 실행시켜줘야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telnet을 이용할 때마다, 이렇게 할려면 명령어도 복잡하고 귀찮으니 이것을 쉘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같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usr/bin 디렉토리 위치에 bash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곳에 docker_bash라는 파일을 생성해서 쉘 스크립트를 만들도록 합니다. (파일 이름은 상관없음) $ vi docker_bash docker_bash #! /bin/sh /etc/init.d/xinetd restart export LANGUAGE=ko LC_ALL=ko_KR.UTF-8 ba..
·IT 공부/Linux
putty란? windows에서 Linux 사용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도구다 설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된다. www.putty.org putty 설정 putty를 실행시킨 화면인데, 우리는 telnet 을 사용할 거기 때문에 맞춰서 설정을 해준다. 하지만, 설저을해서 실행을 시켜봐도 위의 사진처럼 네트워크 에러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포트 포워딩이 안되어있기 때문 현재 windows라는 환경에서 putty를 이용해 docker container인 ubuntu에서 telnet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포트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windows와 공유기 사이와의 포트 포워딩 그리고 공유기쪽에서 docker container와의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다. (oracle V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
·IT 공부/Linux
Vim 이란? Vim(빔, Vi IMproved)은 Bram Moolenaar가 만든 vi 호환 텍스트 편집기이다. CUI용 Vim과 GUI용 gVim이 있다. 본래 아미가 컴퓨터 용 프로그램이었으나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맥 오에스 텐을 비롯한 여러 환경을 지원한다. Vim은 vi와 호환되면서도 독자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다. 특히 Vim 스크립트 등을 사용해서 자유롭게 편집 환경을 변경하거나, 확장된 정규표현식 문법, 강력한 문법 강조 기능, 다중 되돌리기, 유니코드를 비롯한 다국어 지원, 문법 검사 등을 쓸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한편으로는 vi와 마찬가지로 처음에 배우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쉬운 Vim 모..
·IT 공부/Linux
리눅스에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 기본 명령어 Tab 문장 자동완성 History 실행한 명령어 목록을 보여준다 ! !뒤에 명령어의 일부분을 입력하면 history에 사용된 명령어중에 일치하는 것을 찾아서 실행 !! 방금전 사용한 명령어 사용 ( arrow up과 동일) Ctrl + A 현재 명령문에서 맨 앞으로 커서이동 Ctrl + E 현재 명령문에서 맨 뒤로 커서이동 Clear 쉘화면 지우기 Df 디스크를 몇 % 사용했는지 확인 Du 해당 디렉토리가 사용하고 있는 량 Free (-m) 메모리 사용량 -m 메가바이트 단위로 Top cpu의 사용량을 보여준다. Vmstat top의 내용을 한줄로 보여준다 Ps 어떤 프로세스가 있는지 확인 Ps -ef Cpu를 쓰고있는 프로세스 목록 좀 더 자세하게 grep ..